자로편
1.子路問政한대 子曰 先之勞之니라 請益한대 曰 無倦이니라
자로문정한대 자왈 선지노지니라 청익한대 왈 무권이니라
자로가 정치에 대해 묻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솔선수범하고
위로해야한다.
“ 한말씀 더해달라고 청하자, 공자가 말씀하셨다.”게으르지 말아라“
2.仲弓이 爲季氏宰라 問政한대 子曰 先有司오 赦小過하면 擧賢才니라
중궁이 위계씨재라 문정한대 자왈 선유사오 사소과하면 거현재니라
曰 焉知賢才而擧之리잇고 曰 擧爾所知면 爾所不知를 人其舍諸아
왈 언지현재이거지리잇고 왈 거이소지면 이소부지를 인기시제아
중궁이 계씨의 가신이 되어 정치에 대해 묻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담당자에게 먼저 시키고, 작은 허물을 용서해주고, 어질고 재주있는
사람을 증요해야 한다.“ “중궁이 말했다. 어질고 재주 있는 사람인지를
어떻게 알아서 등용합니까?“ 공자가 말씀하셨다.” 네가 아는 사람을
등용해서 쓰면 네가 알지 못하는 사람을 그냥 내 버려 주겠느냐?
3.子路曰 衛君이 待子而爲政하시나니 子將奚先이시리잇고
자로왈 위군이 대자이위정하시나니 자장해선이시리잇고
子曰 必也正名乎인저 子路曰 有是哉라 子之迂也여 奚其正이시리
자알 필야정명호인저 자로왈 유시재라 자지우야여 해기정이시리
子曰 野哉라 由也여 君子於其所不知면 蓋闕如也니라
자왈 야재라 유야여 군자어기소부지면 개궐여야니라
名不正則言不順하고 言不順則事不成하고 事不成則 禮樂이 不興하고
명부정즉언불순하고 언불순즉사불성하고 사불성즉 예악이 불흥하고
禮樂이 不興則刑罰이 不中하고 刑罰이 不中則民無所措手足이니라
예악이 불흥즉형벌이 불중하고 형벌이 불중즉민무소조수족이니라
故로 君子名之인댄 必可言也며 言之인댄 必可行也니
고로 군자명지인댄 필가언야며 언지인댄 필가행야니
君子於其言에 無所苟而已矣니라
군자어기언에 무소구이이의 니라
자로가 말했다. “위나라 임금이 선생님에게 정사를 맡기려한는데,
선생님은 무엇을 먼저 시행하시렵니까? 공자가 말씀하셨다. “반드시
명분을 먼저 바로 잡을 것이다.“ 자로가 말했다. 그러하시군요. 공자는
우활하십니다. 어떻게 바로 잡을수 있습니까? 공자가 말씀하셨다. “ 비속
하구나 유(자로)야! 군자는 알지 못하는 일에는 참견하지않는다.
명분이 바르지않으면 말이 통하지않고, 말이 통하지않으면 일이 이루어지지않고
일이 이루어 지지않으면 예악이 일어나지않고 에악이 일어 나지않으면 형벌이 알맞게
적용되지않고 형벌이 알맞게 적용되지 않으면 백성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모른다.
그러므로 군자가 명분이 서면 반드시 말이 가능하고, 말이 서면 반드시 행함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군자는 말에 있어 구차함이 없어야 한다.
[자로04 ]
樊遲 請學稼한대 子曰 吾不如老農호라 請學爲圃한대
번지 청학가한대 자왈 오불여노농호라 청학위포한대
曰 吾不如老圃니라 樊遲出커늘 子曰 小人哉라 樊須여
왈 오불여노포니라 번지출커늘 자왈 소인재라 번수여
上이 好禮則民莫敢不敬하고 上이 好義則民莫敢不服하고
상이 호농즉민막감불경하고 상이 호의즉민막감불복하고
上이好信則民莫敢不用情하고 夫如是則四方之民이
상이호신즉민막감불용정하고 부여시측사방지민이
襁負其子而至矣리니 焉用稼리오
강부지자이지의리니 언용가리오
번지가 농사일에대해 묻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 나는 늙은 농사꾼보다 못하다."
이번에는 밭 가꾸는 일에대해 묻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나는 늙은 채소심는 사람보다 못하다"
번지가 밖으로 나가자 공자가 말씀하셨다.
소인이로다 번지여!
윗사람이 예를 좋아하면 백성이 감히 공경하지 않을수 없고
윗사람이 신의를 좋아하면 백성이 감히 진정하지 않을수 없다.
이와같이하면
사방백성들이 자기 자식을 포대기에 업고 몰려올 것이니
어찌 농사짓는 일에 힘쓰겠는가.